맨위로가기

오조르스크 (칼리닌그라드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조르스크는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주에 위치한 도시로, 1388년경 튜튼 기사단이 지배하면서 처음 언급되었고, 1539년 문서에 '다르키엠'으로 기록되었다. 폴란드 왕국, 프로이센 왕국을 거쳐 독일 제국의 동프로이센에 속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러시아에 점령되었고, 나치 독일 시기에는 '앙게라프'로 개명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에 병합되어 현재의 이름을 얻었다. 현재 칼리닌그라드주 오조르스크구의 행정 중심지이며, 폴란드 에우크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칼리닌그라드주의 도시 - 발티스크
    발티스크는 발트해 연안에 위치한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주의 도시로, 프로이센의 마을에서 시작하여 러시아 해군 발트 함대가 주둔하는 주요 해군 기지로 발전했다.
  • 칼리닌그라드주의 도시 - 소베츠크 (칼리닌그라드주)
    소베츠크는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주에 위치한 도시로, 1288년 튜턴 기사단에 의해 건설된 샬라우너 하우스 성에서 시작되어 틸지트라는 이름으로 불리다가, 틸지트 조약이 체결된 역사적 장소이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에 병합되어 소베츠크로 개명되었으며, 현재는 치즈 생산 전통을 바탕으로 산업 발전을 추구한다.
  • 러시아의 행정 구역 - 첼랴빈스크
    첼랴빈스크는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의 주도로, 우랄산맥 동쪽 미아스 강가에 위치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 후 교통과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산업 발달로 '탱코그라드'라 불렸으며, 2013년 운석 낙하 사건이 있었던 러시아의 주요 산업, 문화, 스포츠 중심지 중 하나이다.
  • 러시아의 행정 구역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프리모르스키 변경주는 러시아 극동부에 위치하며 동해에 면하고 중국, 북한과 국경을 접하며, 주도는 블라디보스토크이고, 온대 습윤 기후와 다양한 동식물상을 보이며, 수산업, 기계 제작, 광업 등이 발달하고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국가들과 교류한다.
오조르스크 (칼리닌그라드주)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현지 이름 (러시아어)Озёрск
현지 이름 (독일어)Darkehmen (1945년까지)
현지 이름 (리투아니아어)Darkiemis (1945년까지)
현지 이름 (폴란드어)Darkiejmy (1945년까지)
이전 이름다르케멘
앙게라프 (1946년까지)
위치칼리닌그라드주
좌표54°24′32″N 22°00′54″E
행정
연방 주체칼리닌그라드주
행정 구역오조르스키군
자치 도시오조르스크
군 중심지오조르스키군
도시 지위 획득1724년
인구
2010년 인구 조사4,740명
2002년 인구 조사5,801명
1989년 인구 조사6,219명
기타 정보
최초 언급1539년
우편 번호238120
OKATO 코드27227501

2. 역사

앙그라파 강을 건너는 교통의 요지로 발전하면서, 1615년에는 교회가 건립되었고, 1706년에는 학교가 세워졌다. 1726년 1월 10일, 다르케멘은 도시 자격을 얻었다.

18세기 중반, 초기 목조 교회가 노후화되어 1752년에 철거되었고, 1754년에 새로운 석조 교회가 세워졌다. 당시 인구는 약 1,000명이었으며, 잘츠부르크 등에서 피난 온 신교도도 많았다. 1777년 5월 5일에는 시민들이 새로운 시청사 기공식을 가졌고, 이듬해 완공되었다.

1815년 프로이센 왕국의 지방 행정 개혁에 따라, 1818년에 다르케멘은 동명의 군 중심지가 되었다. 인구는 2,000명으로 증가했다. 1836년에는 교회가 다시 철거되었고, 세 번째 건물이 1842년에 완공되었다. 1878년에는 인스테르부르크에서 남쪽 뤼크(Lyck, 현재 폴란드령 에우크)로 향하는 철도가 개통되었으나, 역은 다르케멘 시내에서 3km 떨어진 곳에 위치했다. 1913년 군빈넨(현재 구세프)에서 앙거부르크(Angerburg, 현재 폴란드령 벵고제보)로 향하는 철도가 개통되면서 시가지 바로 가까이에 역이 생겼다. 1886년에는 전기가 들어왔고, 동프로이센에서 가장 초기에 가로등이 켜진 도시가 되었다. 1907년에는 시립 발전소도 건설되었다. 20세기 초에는 새로운 산업이 유치되기도 했지만, 여전히 농작물 집산지로서의 성격이 강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초기, 러시아 제국군이 동프로이센으로 침입하여 1914년 8월 23일 다르케멘을 점령, 방화와 약탈 피해를 입었다. 나치 정권 시기에는 고대 프로이센어의 어감을 남기고 독일어적이지 않은 동프로이센의 수많은 지명이 변경되었는데, 1938년 다르케멘도 강 이름을 따 "앙게라프"로 개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인 1944년 10월, 붉은 군대의 접근에 따라 주민 소개가 시작되었다. 1945년 1월 22일, 붉은 군대는 다르케멘을 점령했다. 종전 후, 이 지역은 러시아와 폴란드의 분할선 북쪽이 되었고, "호수의 도시"를 의미하는 '''오조르스크'''로 개명되었다.

2. 1. 초기 역사와 튜튼 기사단

튜튼 기사단이 도착하기 전, 이 곳 강 유역에는 나드루비아인이 정착했으며, 이 지역에서 발견된 정착지와 요새의 흔적이 이를 증명한다. 튜튼 기사단의 지배는 1388년경에 확립되었지만, 이 도시는 1539년 문서에 '다르키엠'으로 처음 언급되었다. 1615년의 문서에는 1604년에 도레크하임(Dorekheim, 후의 다르케멘)에서 음식점을 운영할 권리(Krugrecht)를 구입한 인물에 대한 언급이 있다. 1539년의 기록에는 다르게케임(Dargekeyem)이라는 지명이 등장하며, 앙그라파 강 유역의 습지임을 나타낸다고 전해진다. 이 지명은 프로이센어의 "Dargis"와 "caymis(혹은 Kaim)"에서 유래되었으며, 문자 그대로 "비의 도시"를 의미했다. 이것이 후에 독일어로 유입되어 다르케멘이 되었다. 인스테르부르크로 향하는 길에는 기독교 이전 이교도의 성지, 즉 행복의 신 포트림포스 (Potrimpos)를 모신 산이 있었다.

1454년, 이 지역은 반(反)튜튼 세력인 프로이센 동맹의 요청에 따라 카지미에시 4세 야기에우워 왕에 의해 폴란드 왕국에 병합되었다.[2] 이후 13년 전쟁 이후, 1466년부터 튜튼 기사단이 소유한 봉토로서 폴란드에 속하게 되었고,[3] 1525년 이후에는 폴란드의 봉신 공국인 공작령 프로이센에 위치했다. 이곳에는 리투아니아인, 폴란드인, 독일인 정착민들이 거주했다. 남쪽의 마주리아와 북쪽의 리투아니아 소지역 사이의 과도적인 지역에 위치한 이 도시와 주변 마을에는 많은 폴란드인[5]과 리투아니아인이 섞여 살았다. 최초의 교회는 1615년에 세워졌다.[11]

2. 2. 프로이센과 독일 제국 시대

튜튼 기사단이 도착하기 전, 이 강 유역에는 나드루비아인이 정착했으며, 이 지역에서 발견된 정착지와 요새의 흔적이 이를 증명한다. 튜튼 기사단의 지배는 1388년경에 확립되었지만, 이 도시는 1539년 문서에 '다르키엠'으로 처음 언급되었다. 1454년, 이 지역은 반(反)튜튼 세력인 프로이센 동맹의 요청에 따라 카지미에시 4세 야기에우워 왕에 의해 폴란드 왕국에 병합되었다.[2] 이후 13년 전쟁 이후, 1466년부터 튜튼 기사단이 소유한 봉토로서 폴란드에 속하게 되었고,[3] 1525년 이후에는 폴란드의 봉신 공국인 공작령 프로이센에 위치했다. 이곳에는 리투아니아인, 폴란드인, 독일인 정착민들이 거주했다. 남쪽의 마주리아와 북쪽의 리투아니아 소지역 사이의 과도적인 지역에 위치한 이 도시와 주변 마을에는 많은 폴란드인[5]과 리투아니아인이 섞여 살았다. 최초의 교회는 1615년에 세워졌다.[11]

1701년부터 프로이센 왕국에 속했다. 이 정착지는 1724년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에 의해 도시권을 받기 전까지 마을로 남아 있었다.[4] 그 직후, 도시 계획은 시장 광장과 새로운 격자형 계획으로 개정되었다. 이민자들이 유입되었고 (1725년에는 등록된 742명의 주민 중 103명이 잘츠부르크 출신이었다), 가죽 및 직물 수공업 생산이 도시에서 설립되었다. 7년 전쟁 동안, 이 도시는 황폐화되었고[5] 러시아 제국에 점령되었다.

1818년에는 지구의 중심지가 되었다.[5] 19세기에 가죽 및 직물 산업은 서부 독일의 더 효율적인 산업과의 경쟁으로 인해 문을 닫아야 했다. 1871년부터 1945년까지 이 도시는 독일의 일부였으며, 행정적으로 동프로이센 지방에 위치했다. 1878년에는 철도 노선이 건설되어 도시를 3km 우회했다.[5] 19세기 말에는 이 도시에서 9개의 연례 박람회가 열렸다.[6] 앙그라파 강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1880년에는 수차에 설치된 발전소가 이미 도시를 위한 전기 조명을 생산할 수 있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이 도시는 1914년에 러시아에 점령되었다. 전투 중에 심하게 손상되었지만, 전쟁 후 전원도시 운동의 이상에 따라 드레스덴 시의 재정적 지원을 받아 재건되었다.[7]

1938년, 나치 정부는 리투아니아 기원의 흔적을 지우기 위해 도시 이름을 '앙게라프'로 변경했다.[5] 나치 독일 아래에서 제3제국 노동 봉사의 두 개의 노동 수용소가 이 도시에서 운영되었다.[9]

2. 3. 나치 시대와 제2차 세계 대전

1938년, 나치 독일 정부는 리투아니아어 지명의 흔적을 지우기 위해 도시 이름을 '앙게라프'로 변경했다.[5] 나치 독일 아래에서 제3제국 노동 봉사의 두 개 노동 수용소가 이 도시에서 운영되었다.[9]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5년 1월 23일 동프로이센 공세 과정에서 제3 벨로루시 전선의 붉은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다.[10]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배한 후, 이 도시는 소련에 병합되었고, 독일인 주민들은 포츠담 협정에 따라 추방되었다.[11]

2. 4. 전후 시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나치 독일이 패배한 후, 이 도시는 폴란드에 넘겨져 역사적인 폴란드 이름인 '다르키에이미'로 불렸으나 곧 소련에 병합되었다. 독일인 주민들은 포츠담 협정에 따라 추방되었다. 1946년 9월 7일, 오조르스크로 개명되었다.[11]

1970년에는 빌뉴스에 있는 전파기술 측정 기기 공장의 지점으로서 인쇄 회로 기판 부서가 설립되었다.[12]

현재는 오조르스크 지구의 행정 중심지이며, 남쪽으로 뻗어 있던 철도는 국경에 의해 분단되면서 철거되었다.

3. 행정 및 지방 자치

행정 구역 틀 내에서 오조르스크는 오조르스크구의 행정 중심지이다.[13] 행정 구역으로서 오조르스크는 오조르스크구 내에서 우샤코보 농촌 지역과 함께 구의 도시 오조르스크로 통합된다.[13]

지방 자치 체제 내에서는 2014년 6월 11일부터 오조르스크 구의 도시와 오조르스크구의 3개 농촌 오크루그 영토가 오조르스크 도시 오크루그로 통합되었다.[14] 그 이전에는 구의 도시가 오조르스크 지방 자치구 내에서 오조르스코예 도시 정착지로 통합되었다.[15]

4. 문화

이 도시의 주요 공공 도서관은 중앙 도서관이다.[16] 얀 코하노프스키 폴란드 문화 협회는 지역 폴란드 공동체의 문화 기관으로, 폴란드어, 역사, 지리, 문학 교육도 제공한다.[17]

5. 자매 도시

에우크, 폴란드

6. 인물

참조

[1] 간행물 2010Census
[2] 서적 Związek Pruski i poddanie się Prus Polsce: zbiór tekstów źródłowych Instytut Zachodni
[3] 문서 Górski
[4] 서적 Энциклопедия Города России Большая Россий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5] 서적 Przewodnik historyczno-turystyczny po dziedzictwie kulturowym pogranicza Polska – Litwa – Kaliningrad
[6] 서적 Słownik geograficzny Królestwa Polskiego i innych krajów słowiańskich, Tom I
[7] 서적 Handbuch der historischen Stätten. Ost- und Westpreussen Kröner 1981
[8] 간행물 2010Census
[9] 웹사이트 I Ostpreussen http://www.tenhumber[...] 2022-04-02
[10] 웹사이트 Освобождение городов https://www.soldat.r[...]
[11] 서적 Истории Озёрска
[12] 서적 Истории Озёрска
[13] 문서 Resolution #640
[14] 문서 Law #320
[15] 문서 Law #259
[16] 서적 Истории Озёрска
[17] 서적 Истории Озёрск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